오로지 한국만 요소 부족으로 요소수 대란이 일어났다고 상당히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그런데, 현재 대만과 인도가 한국과 비슷한 요소 대란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대만과 인도 두 나라의 요소 부족 원인과 현 상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중국이 요소에 대해 수출 전 검사를 의무화한 이후 국내로 들여올 1만 9천 톤의 요소 수입물량이 발이 묶였고 이로 인해 요소수 대란이 일어났습니다. 그런데 중국이 요소 수출 제한에 따라 한국과 같이 어려움을 겪는 나라가 발생하고 있는 데 바로 대만과 인도입니다.
두 나라 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자국 내 소비되는 요소의 대부분을 중국으로부터 수입 의존하고 있어 국내에서 벌어지고 있는 요소수 대란과 비슷하게 요소 부족 현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10일 대만 타이완 뉴스의 따르면 중국의 요소 수출 제한으로 대만 내 요소 가격이 톤 당 200 달러에서 11월 4일 기준 최고 830달러까지 치솟았다고 전했습니다. 대만의 대형 요소 생산 기업은 연간60만 톤 규모의 요소를 생산하는 사우디아라비아 기업인 Al-Jubail 비료 회사에 투자를 했지만 선적비 문제로 수입이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해당 대만 기업은 화합물 제조를 중단했고 상당량의 비료 요소를 중국으로부터 수입했다고 합니다.
대만 내 업계 관계들은 중국의 "총 에너지 소비 및 에너지 집약도 이중 제어 시스템"의 시행으로 요소 생산이 감소하거나 제한되어 중국이 화합물을 정상적으로 수출할 수 없을 것이라고 추측했습니다. 따라서, Taiwan Fertilizer Co는 11월 8일, 중국의 최근 유기농 수출 규제에 대응하여 비료에 사용되는 요소를 중동이나 동남아시아에서 수입하는 것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인도도 대만과 같이 요소 부족 상황에 직면해 있습니다. 현재 인도는 에너지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석탄 공급에 차질을 빚어 전력대란의 위험에 직면한 상태인데 요소 부족 사태까지 벌어지고 있습니다. 중국으로부터 요소 수입이 어려워짐에 따라 내년 농사를 위한 토지개량에 필요한 요소 부족으로 영농에 상당한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일부 국내 언론에선 인도가 요소의 부족을 미리 예상하고 지난 9월 전년 대비 20 여톤 이상 수입한 것이 확인되었다고 보도했습니다. 하지만 이 보도는 전혀 설득력이 없어 보입니다.우선, 무엇보다도 인도가 요소 부족을 예상했다면 지금 인도의 요소 부족 현상은 일어나지 않았을 겁입니다. 또한, 보통 인도는 가을에 접어들 때 요소 수입량이 급증하는 데 올해 인도의 8월 요소 수입량이 작년 대비 상대적으로 상당히 낮았기에 올해 9월 수입량이 다소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차 재난지원금 - 지급 시기, 지급액, 지급대상 (0) | 2021.11.13 |
---|---|
디즈니 플러스 서비스 - 요금제, 콘텐츠 정리 (0) | 2021.11.12 |
돌파감염 – 코로나 돌파감염 위중증 환자 급증 (0) | 2021.11.10 |
요소수 해결책 - 정부 해결방안 (군 요소수 공급 - 2021. 11. 08) (0) | 2021.11.08 |
요소수 해결책 (정부 해결 방안) (0) | 2021.11.07 |
댓글